#monitor,#monitoring
※ su 나 다른 유저로 변경해도 최초로 로그인한 유저가 표시된다.
# users
 # who
# free
# tcpdump -nni eth0 host 192.168.0.100 and not port 22
 
 네트워크 eth0 이고 호스트가 192...이며  22포트 이외의 포트로 들어오는 것
※ 단위 시간마다 기다린 태스크 수
로드 애버리지가 높다 = 단위시간당 기다린 태스크가 많다. = 부하가 많이 걸렸다.
# uptime
 
 --------------------
 15:03:34 up  4:49,  4 users,  load average: 0.00, 0.01, 0.05
 순서대로 : 현재시각,  로그인시간,  로그인유저수,  로드애버리지
※ 표준장착으로 모든것 볼수 있는 (vmstat)
# vmstat -t 2
 
 : -t 시간도 나온다.  2: 2초마다 갱신
| r | 실행중 또는 실행대기 (runnable)의 프로세스 수 | 
| b | uninteruptible한 IO대기 프로세스 수 (r+b가 로드애버러지와 동일) | 
| swpd | 스와프된 메모리 | 
| free | 빈 메모리. 적어도 괴안다. free+buff+cache가 적으면 문제 | 
| buff | 버퍼 캐쉬 | 
| cache | 페이지 캐쉬 | 
| si | 스와프 인 | 
| so | 스와프 아웃 | 
| bi | 블럭 디바이스에서 읽어들임 | 
| bo | 블럭 디바이스에 쓴다. | 
| in | 1초간의 인터럽트 횟수(타이머 포함) | 
| cs | 1초간의 컨텍스트 스위치 횟수 | 
| us | 유저 CPU시간 (커널이외 사용한 CPU사용율) | 
| sy | 시스템CPU시간 (커널이 사용한 CPU사용율) | 
| id | 아이들 시간(idle) | 
| wa | IO대기시간 | 
| st | 가상머신에 도난당한 시간 | 
※ 메모리단위는 Kbyte :: --unit M으로 Mbyte 표시